LLM 계의 최강자 GPT가 잘하지 못하는 것도 있습니다. 바로 검색입니다. 검색기능만큼은 GPT가 퍼플렉시티( Perplexity)보다 떨어진다는 이야기가 많았습니다. ChatGPT에서도 검색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무엇인가 성실하지 못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GPT가 자존심이 상했는지 Search GPT를 발표했습니다. OpenAI는 또한 게시자가 SearchGPT에서 자신의 존재를 관리할 수 있는 도구를 도입하여 콘텐츠가 표시되는 방식을 더 잘 제어할 수 있도록 했다고 합니다. SearchGPT는 생성형 AI 교육 모델과 분리되어 AI 교육을 선택 해제하더라도 사이트가 검색 결과에 표시될 수 있다고 합니다. 아직 모든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대기 신청을 하면 순차적으로 ..
1. 들어가며 최근 각종 재개발 서적이나 경제 서적, 신문에서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법” 등의 주제의 글들을 많이 보셨을 겁니다. 파이프라인의 사전상 의미는 “석유, 천연가스 등을 목적지까지 수송하기 위해 지상 또는 지하에 고정 매설한 관로”를 의미합니다. 경제 용어로서의 “새로운 파이프라인의 구축”의 의미는 단순히 투잡러 내지 N잡러가 되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굳이 파이프라인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이유는 근로소득, 부가소득, 투자소득, 부동산 소득 등을 서로 연결하여 큰 흐름을 만들어 내는 것을 표현하기 위한 것입니다. 사회생할을 하는 모든 분들은 이미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직장인은 월급을 받아서 은해에 예금 또는 적금을 넣습니다. 근로소득 파이프를 이자소득 파이프에 연결하여, ..
1. 들어가며: 블로그는 어디에서 시작해야 할까? 디지털노마드를 꿈꾸는 많은 분들이 가장 쉽게 시작할 수 있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블로그입니다. 단순히 나의 하루를 온라인 상에 남겨두거나, 취미 생활을 기록해두고 "보관"한다는 행위에 집중하시는 분들은 어디에서건 블로그를 시작해도 상관없습니다. 2000년대를 풍미했던 싸이월드가 사라졌던 것을 생각해본다면, 기록을 "보관"하는 것이 목적이신 분들은 접근성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플랫폼을 선택해야 합니다. 문제는 "디지털노마드"가 되기 위해서는 블로그 자체에서 "수익"이 발생해야만 한다는 것입니다. 블로그를 개설하는 쉬운 일조차도 "수익"을 고려하게되면 쉬운 일이 아니게 됩니다. 과연 "어디에서" 블로그를 개설해야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을지부터 고민이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