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가의 본질을 가장 간결하면서도 심오하게 표현한 문장이 바로 요가 수트라 1장 2절에 나오는 "요가 치타 브리티 니로다하"입니다. "요가 치타 브리티 니로다하"는 "요가란 마음을 고요히 하여 작용을 멈추게 하는 것이다"라는 의미입니다. 이 구절은 요가 철학의 중심 주제를 담고 있으며, 요가를 단순한 신체적 운동 이상의 정신적 실천으로 바라보게 합니다.
마음의 작용과 고요
여기서 '치타'는 마음을 의미하며, '브리티'는 마음의 작용이나 동요를 뜻합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겪는 감정의 파도, 생각의 흐름, 끊임없는 판단과 반응 등이 바로 브리티입니다. '니로다하'는 이러한 작용을 멈추고 통제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결국 이 구절은 요가란 우리의 마음을 고요하게 만들어 내면의 평화를 찾는 과정이라고 설명합니다.
현대인의 관점에서 본 마음의 고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마음의 고요를 찾는 일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알림, 끝없는 업무, 인간관계 속에서 우리의 마음은 항상 어딘가로 달려가고 있습니다. 요가 수트라 1장 2절은 이러한 삶 속에서 우리에게 잠시 멈춤의 필요성을 일깨웁니다. 작용을 멈추는 것은 단순히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마음의 움직임을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고, 그것에 휘둘리지 않으려는 의식적인 노력을 의미합니다.
요가를 통해 마음을 고요히 하는 방법
요가를 생각하면 흔히 아사나(요가 자세)를 먼저 떠올립니다. 아사나는 단순히 동작이 아니라 신체를 움직이며 내면의 에너지를 정리하고, 몸과 마음을 연결하는 것입니다. 요가에서는 아사나 만큼이나 명상, 그리고 호흡이 중요합니다. 깊은 호흡을 통해 우리의 신경계를 진정시키고, 마음의 불필요한 소음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또한, 명상을 통해 조용히 앉아 자신의 생각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마음의 작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과정에서는 현재에 머무르기: 과거나 미래가 아닌, 지금 이 순간에 온전히 집중해야 합니다.
요가와 일상
이 구절이 전하는 메시지는 요가 매트를 벗어난 우리의 삶 속에서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마음의 작용을 멈춘다는 것은 하루를 살아가며 끊임없이 몰아치는 생각 속에서도 잠시 멈추어 숨을 고르고, 스스로를 되돌아보는 순간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는 곧 더 나은 선택을 하고, 더 평온한 삶을 살아가게 만드는 첫걸음이 됩니다.
요가는 단순히 유연한 신체를 만드는 운동이 아닙니다. 마음의 소음을 줄이고, 본래의 자신을 만나는 길입니다. 요가 수트라 1장 2절은 그 길을 향한 나침반과도 같은 역할을 하는 것 같습니다.